맨위로가기

우도 라테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도 라테크는 독일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14개의 주요 트로피를 획득하며 은퇴했다. 그는 선수 시절에는 아마추어 포워드로 활동했으며, 1965년부터 독일 축구 협회 코치로 활동하며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서독 대표팀의 코칭 스태프를 맡았다. 감독으로서 FC 바이에른 뮌헨,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FC 바르셀로나 등을 이끌며 분데스리가 8회 우승을 달성, 최다 우승 감독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15년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선수 경력

우도 라테크는 교사가 되기 위한 준비 과정과 병행하며 SSV 마린하이데, 바이어 04 레버쿠젠, VfR 비퍼퓌르트 등에서 축구 선수로 활동했다. 1962년에는 VfL 오스나브뤼크에 입단하여 당시 1부 리그였던 북독일 오버리가와 이후 2부 리그에서 뛰며 선수 경력을 이어갔다. 그는 주로 중앙 공격수로 활약했다.

1965년 초,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고 독일 축구 협회(DFB)에 합류하여 유소년 팀 코치 및 헬무트 쇤 감독 아래 서독 대표팀 수석 코치로 활동했다. 그는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서독 대표팀 코칭 스태프의 일원이었다.[2]

2. 1. 선수 경력 상세

우도 라테크는 바르미아-마주리 주 보제 (당시 나치 독일 영토였던 동프로이센) 출신이다.[1] 그는 교사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동안 SSV 마린하이데, 바이어 04 레버쿠젠, VfR 비퍼퓌르트 등에서 축구 선수로 활동했다. 선수 생활과 병행하여 뮌스터 대학교에서 교육학을 공부했으며, 1950년대 후반에는 비퍼퓌르트에서 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기도 했다.

1962년 VfL 오스나브뤼크에 입단하여 선수 경력의 주요 시기를 보냈다. 입단 첫 시즌에는 당시 1부 리그였던 북독일 오버리가에서 뛰었으나, 1963년 분데스리가가 출범하면서 오스나브뤼크가 참가 자격을 얻지 못해 남은 기간은 2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주로 중앙 공격수로 뛰었으며, 뛰어난 헤딩 능력을 바탕으로 1962년부터 1965년까지 70번의 리그 경기에서 34골을 기록했다. 그는 프로 계약을 맺지 않고 아마추어 선수 신분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1965년 초, 라테크는 선수 계약을 조기에 종료하고 독일 축구 협회 (DFB)에 합류했다. 그는 유소년 팀 코치를 맡는 동시에, 헬무트 쇤 당시 서독 대표팀 감독 아래에서 데트마어 크라머와 함께 수석 코치로 활동했다. 이 역할의 일환으로 1966년 FIFA 월드컵 당시 결승전에 진출했던 서독 대표팀 코칭 스태프의 일원으로 준우승에 기여했다.[2]

3. 감독 경력

우도 라테크는 독일 축구 협회 코치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하여, FC 바이에른 뮌헨,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FC 바르셀로나 등 유럽 유수의 클럽들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특히 FC 바이에른 뮌헨에서는 두 차례 감독직을 역임하며 분데스리가 6회, DFB-포칼 3회, 유러피언 컵 1회 우승을 달성했고,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에서는 분데스리가 2회, UEFA 컵 1회 우승을, FC 바르셀로나에서는 UEFA 컵위너스컵 1회 우승을 차지했다. 그는 서로 다른 세 개의 클럽을 이끌고 세 개의 다른 주요 유럽 대항전 트로피(유러피언 컵, UEFA 컵, UEFA 컵위너스컵)를 모두 획득한 유일한 감독이다.[3]

이후 1. FC 쾰른, FC 샬케 04 등에서도 감독 및 기술 고문직을 맡았으며, 2000년에는 위기에 빠진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임시 감독으로 부임하여 팀의 분데스리가 잔류를 이끌기도 했다. 감독직에서 은퇴한 후에는 TV 해설가 및 신문 칼럼니스트로 활동했다.

라테크의 감독 경력과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클럽타이틀
1965-70독일 축구 협회
1970-75FC 바이에른 뮌헨DFB-포칼 1회 (1971)
분데스리가 3회 (1971-72, 1972-73, 1973-74)
유러피언 컵 1회 (1973-74)
1975-79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분데스리가 2회 (1975-76, 1976-77)
UEFA 컵 1회 (1978-79)
1979-81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981-83FC 바르셀로나UEFA 컵위너스컵 1회 (1981-82)
1983-87FC 바이에른 뮌헨분데스리가 3회 (1984-85, 1985-86, 1986-87)
DFB-포칼 2회 (1983-84, 1985-86)
19911. FC 쾰른감독 대행
1992-93FC 샬케 04
2000보루시아 도르트문트

3. 1. 독일 축구 협회 (1965-1970)

1960년대, 당시 독일 축구 협회 코치 라이선스 취득 과정 책임자였던 제프 헤르베르거[23]는 라테크의 지도자로서의 재능을 높이 평가했다. 이를 계기로 라테크는 1965년 독일 축구 협회에 합류하게 된다. 그는 서독 유스 대표팀 감독을 맡는 동시에, 헬무트 쇤 당시 서독 대표팀 감독 아래에서 데트마어 크라머 등과 함께 어시스턴트 코치로 활동했다.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을 앞두고 협회 예산 문제로 모든 어시스턴트 코치를 대회에 동행시킬 수 없게 되자, 가장 젊었던 라테크는 서독에 남겨질 예정이었다. 그러나 대표팀 선수들이 이 결정에 반대하며 직접 자금을 모아 라테크의 대회 동행 비용을 마련하는 일이 있었다. 이처럼 라테크는 1965년부터 1970년까지 독일 축구 협회에서 코치로 활동하며 경력을 쌓았다.

3. 2. FC 바이에른 뮌헨 (1970-1975)

1970년 3월, 라테크는 유고슬라비아 출신의 브란코 제베츠 감독 후임으로 FC 바이에른 뮌헨의 지휘봉을 잡았다. 당시 클럽의 스타 선수였던 프란츠 베켄바워의 추천으로 감독직에 올랐으나, 클럽 감독 경력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그의 선임은 논란이 되기도 했다. 베켄바워의 수비력, 게르트 뮐러의 득점력, 제프 마이어의 골키핑 능력을 갖춘 기존 선수단에 라테크는 젊은 유망주였던 파울 브라이트너울리 회네스를 1군으로 승격시켜 팀 전력을 강화했다. 이를 바탕으로 바이에른 뮌헨은 강력한 전력을 구축하며 유럽 축구계의 강자로 떠올랐다.

라테크는 1975년까지 바이에른 뮌헨을 이끌며 DFB-포칼 1회 우승과 분데스리가 3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특히 분데스리가 3연패는 독일 축구 역사상 최초의 기록이었다. 또한 1973-74 시즌 유러피언 컵 결승에서는 스페인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상대로 연장전 끝에 1-1로 비긴 후, 치러진 재경기에서 4-0으로 대승을 거두며 독일 클럽 역사상 최초로 유러피언 컵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이는 이후 바이에른 뮌헨이 달성하게 될 유러피언 컵 3연패의 시작이기도 했다. 당시 바이에른 뮌헨 소속 선수 중 6명은 서독 대표팀의 일원으로 UEFA 유로 19721974년 FIFA 월드컵 우승에 기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1974-75 시즌 국내 리그에서 성적이 부진하자 라테크의 입지는 흔들렸다. 결국 그는 또다시 베켄바워의 추천을 받은 데트마어 크라머에게 감독직을 넘겨주게 되었다. 라테크는 훗날 경질 당시 상황에 대해 "빌헬름 노이데커 회장에게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더니, 회장이 '맞아. 자네는 해고야'라고 답했다"고 회상했다.

3. 3.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75-1979)

1975-76 시즌을 앞두고, 라테크는 헤네스 바이스바일러의 뒤를 이어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1979년까지 4년간 팀을 이끌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분데스리가에서 두 차례(1975-76, 1976-77 시즌)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묀헨글라트바흐가 달성한 리그 3연패 중 두 번째와 세 번째 우승에 해당한다. 하지만 1977-78 시즌에는 1. FC 쾰른과 승점, 득점까지 동률을 이루었으나 골득실차에서 3골이 뒤져 아쉽게 준우승에 머무르며 리그 4연패 달성에는 실패했다. 공교롭게도 당시 1. FC 쾰른의 감독은 라테크의 전임자였던 헤네스 바이스바일러였다.

유럽 대항전에서는 1977년 유러피언컵 결승에 처음으로 진출했으나,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리버풀 FC에 1-3으로 패배하여 준우승을 기록했다. 리버풀 FC인터콘티넨털컵 출전을 포기함에 따라 묀헨글라트바흐가 대신 참가하여 남아메리카 챔피언 보카 주니어스와 맞붙었다. 아르헨티나 원정 1차전에서 2-2로 비겼으나, 홈에서 열린 2차전에서 0-3으로 패배했다. 1979년에는 UEFA컵 결승에서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를 상대로 원정 1-1 무승부, 홈 1-0 승리를 거두며 우승컵을 차지했다.

라테크가 묀헨글라트바흐를 이끌던 시기에는 전설적인 공격수 유프 하인케스를 비롯해 덴마크의 뛰어난 공격수 알란 시몬센, 베르티 포크츠, 라이너 본호프, 울리 슈틸리케, 헤르베르트 비머 등 뛰어난 선수들이 함께했다. 1978-79 시즌 종료 후, 라테크는 묀헨글라트바흐를 떠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3. 4.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979-1981)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를 떠난 라테크는 1979년부터 1981년까지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감독을 맡았으나, 2년 동안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전 소속팀인 묀헨글라트바흐에서는 전설적인 공격수 유프 하인케스와 덴마크의 위대한 공격수 알란 시몬센을 비롯해 베르티 포그츠, 라이너 본호프, 울리 슈틸리케, 헤르베르트 비머와 같은 국가대표급 선수들을 지도하며 풍부한 선수 자원을 활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르트문트에서는 그 정도 수준의 재능 있는 선수들을 보유하지 못했고, 당시 클럽은 선수를 육성할 재정적 여력이나 시간적 여유도 부족했다. 또한, 이 시기에 라테크는 15세 아들이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나는 개인적인 아픔을 겪었고, 이 슬픔에서 벗어나기 위해 새로운 도전을 모색하게 되었다.[1]

3. 5. FC 바르셀로나 (1981-1983)

1981년, 라테크는 엘레니오 에레라의 뒤를 이어 스페인 라 리가의 FC 바르셀로나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바르셀로나를 이끌고 1981-82년 UEFA 컵위너스컵 결승전에서 스탕다르 리에주를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으로 라테크는 서로 다른 세 개의 클럽을 이끌고 세 개의 다른 주요 유럽 대항전 트로피를 획득한 유일한 감독이 되었다.[3] 당시 바르셀로나에는 미겔리, 알렉산코, 렉사치, 아센시, 키니 등의 선수들이 있었고, 라테크는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시절 함께했던 베른트 슈스터알란 시몬센과 다시 만나게 되었다.

두 번째 시즌에는 당시 22세였던 디에고 마라도나를 기록적인 이적료로 영입했다. 그러나 바르셀로나는 국내 대회에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결국 라테크는 1982-83 시즌이 끝난 후 아르헨티나1978년 FIFA 월드컵 우승 감독이었던 세사르 루이스 메노티로 교체되었다. 이는 마라도나의 기량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결정이었다.

3. 6. FC 바이에른 뮌헨 복귀 (1983-1987)

라테크는 과거 자신의 선수였고 당시 FC 바이에른 뮌헨의 상업 담당 매니저로 있던 울리 회네스의 제안을 받아 친정팀 감독으로 복귀했다. 이는 헝가리 출신 감독 팔 체르나이의 후임이었다.

라테크는 복귀 후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리그 3연패를 달성했고, DFB-포칼에서도 두 번 우승하며 1986년에는 독일 축구 역사상 네 번째로 국내 더블(리그와 컵 동시 우승)을 기록했다. 하지만 1987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는 FC 포르투에 1-2로 아쉽게 패배하며 유럽 정상 등극에는 실패했다.

이 시기 바이에른 뮌헨에는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로타어 마테우스, 클라우스 아우겐탈러, 디터 회네스 등 뛰어난 독일 선수들과 더불어 덴마크 출신 미드필더 쇠렌 레르뷔, 벨기에 국가대표 골키퍼 장마리 파프 등이 활약했다. 라테크가 떠난 후,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시절과 마찬가지로 그의 선수였던 유프 하인케스가 후임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3. 7. 1. FC 쾰른 (1991)

1986년, FC 바이에른 뮌헨 감독직에서 물러난 지 몇 년 후, 라테크는 분데스리가의 명문 구단 1. FC 쾰른의 스포츠 디렉터로 부임했다.[25] 그는 선수 시절 무명이었던 크리스토프 다움1986년 9월 감독으로 영입하는 성공적인 결정을 내렸다.[25] 다움 감독과 함께 쾰른은 분데스리가 준우승 2회, UEFA 컵 준결승 진출이라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FC 바이에른 뮌헨과의 치열한 경쟁은 큰 화제를 모았다.[25]

그러나 구단 경영진과의 갈등 끝에 라테크는 성공 가도를 달리던 다움 감독을 해임하고, 경영진이 추천한 에리히 루테멜러를 후임으로 맞이했다.[25] 1991년, 성적 부진으로 루테멜러 감독마저 해임되자 라테크가 직접 감독 대행을 맡아 1경기를 지휘했다. 이 경기는 FC 바이에른 뮌헨과의 홈 경기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4] 이후 해당 시즌의 남은 기간 동안 기술 고문(기술 담당 이사)직을 수행했으나,[4] 결국 경영진에 대한 불만으로 1. FC 쾰른을 떠났다.[25]

3. 8. FC 샬케 04 (1992-1993)

감독직에서 4년간 물러나 있은 후, 1991년 1. FC 쾰른의 감독 대행으로 한 경기를 치렀다(FC 바이에른 뮌헨과의 1-1 무승부).[4] 이후 잔여 시즌 동안 기술 고문으로 활동했으나,[4] 사무직 업무에 만족하지 못하고 현장 복귀를 원했다.

1992년 7월, 분데스리가샬케 04 귄터 아이히베르크 회장 제안을 받아들여 6개월 계약으로 감독에 취임했다. 아이히베르크 회장은 파격적인 급료와 유력 선수 영입을 위한 거액의 이적 자금을 약속했다. 그러나 당시 샬케 04는 1977년 이후 유럽 대회 진출 경험이 없었고, 1991년까지 2부 리그에 머물렀던 약체 팀이었다.

라테크는 팀을 이끌고 순위를 10위권까지 끌어올렸으나, 아이히베르크 회장의 잦은 현장 개입과 언론을 통한 부적절한 발언, 선수 영입 약속 불이행 등 클럽 운영상의 문제에 부딪혔다. 팀 성적 부진과 회장과의 갈등이 겹치면서, 결국 라테크는 회장을 강하게 비판했고 1993년 1월 해임되었다. 샬케 04에서의 마지막 경기는 FC 바이에른 뮌헨 원정 경기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해임 직후 라테크는 "축구에 대해 전혀 모르는 회장에게 휘둘리는 것은 이제 충분하다. 많은 타이틀을 획득했고, 감독 일은 이제 은퇴하겠다"고 선언하며 감독직 은퇴 의사를 밝혔다. 이후 독일 스포츠 TV(DSF)의 해설가로 활동을 시작했고, 일간지 "Die Welt"에 칼럼을 기고하는 등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3. 9.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복귀 (2000)

감독직에서 은퇴한 라테크는 독일 스포츠 TV(DSF) 등에서 TV 해설가로 활동했으며, 전국 일간지인 Die Welt|디 벨트de와 격주 스포츠 잡지 키커의 칼럼니스트로도 일했다.

1997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차지했던 명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1999-2000 시즌 극심한 부진에 빠져 1 분데스리가 잔류에 큰 위기를 맞았다. 시즌 종료 5경기를 남겨두고 강등권과 승점 1점 차이밖에 나지 않았으며, 일부 자료에 따르면 라테크 부임 전까지 리그 23경기에서 단 1승만을 거둔 상태였다. 당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게르트 니바움 회장은 은퇴했던 라테크를 설득했고, 2000년 4월, 65세의 라테크는 시즌 종료까지 팀을 맡는 조건으로 감독직에 복귀했다. 계약 금액은 25만유로에서 50만유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라테크는 '구세주'로서 부임 후 불과 1개월 만에 특유의 동기 부여 능력을 발휘하여 팀을 빠르게 재건했다. 남은 5경기에서 2승 2무 1패(1패는 FC 바이에른 뮌헨과의 경기)를 기록하며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분데스리가 잔류라는 '기적'을 이뤄냈다. 그의 마지막 경기는 75,000명의 관중 앞에서 치러진 헤르타 BSC 원정 경기로, 3-0 완승을 거두었다. 라테크는 이후 마티아스 자머에게 감독직을 넘겨주었는데, 자머는 2년 후 34세의 나이로 분데스리가 최연소 우승 감독이 되었다.

훗날 니바움 회장은 라테크의 높은 급여에 대해 "거의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1부 잔류를 달성해 주었다. 2부로 강등되었을 경우의 피해를 생각하면, 이 투자는 저렴했다."라고 평가하며 그의 공로를 인정했다.

4. 은퇴 이후

공식 은퇴 선언 이후, 라테크는 Die Welt|디 벨트de의 TV 중계자와 신문 칼럼니스트로 활동했으며, 격주 스포츠 잡지 키커 (Kicker)에서도 일했다.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UEFA 챔피언스리그 1996-97 우승 후 3년 뒤인 1999-2000 시즌, 5경기를 남겨두고 강등권과 승점 1점 차이로 위기에 처하자, 라테크는 65세의 나이에 25만유로의 계약을 맺고 도르트문트의 임시 감독으로 복귀했다. 그는 남은 5경기에서 2승 2무 1패(1패는 FC 바이에른 뮌헨 전)를 기록하며 팀의 1 분데스리가 잔류를 이끌었다. 그의 마지막 경기는 헤르타 BSC 베를린과의 원정 경기로, 75,000명의 관중 앞에서 3-0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마티아스 자머가 그의 뒤를 이어 감독이 되었고, 자머는 2년 후 34세의 나이로 분데스리가 최연소 우승 감독이 되었다.

2000년 5월 하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는 계약 연장을 원했지만, 라테크는 "이제 21세기를 맞이했다. 오늘의 축구 업계는 더 이상 나에게 맞지 않는다"고 말하며 다시 감독직에서 은퇴하고, 독일 스포츠 TV(DSF)의 해설가로 복귀했다. 그는 독일의 인기 축구 토론 프로그램 '도펠파스'(Doppelpassde)에 고정 출연하며 활동했다.

이후 쾰른에 거주하며, 맥주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모든 훌륭한 코치는 술을 즐겼다"). 2012년 뇌졸중을 겪었으며,[5] 이후 파킨슨병치매를 앓았다.[2] 말년에는 쾰른의 한 요양원에서 지내다가 2015년 1월 31일,[6][7] 2월 1일,[26] 또는 2월 4일[4]에 사망했으며, 사망 당시 나이는 향년 80세 또는 81세로 보도되었다. 그의 사망 소식에 프란츠 베켄바워는 트윗을 통해 "슬픈 소식: 위대한 우도 라테크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편히 잠드소서, 나의 친구여."라고 애도했다.[8]

라테크는 감독 경력 동안 총 14개의 주요 트로피를 획득했으며,[4] FC 바이에른 뮌헨에서 6번,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에서 2번, 총 8번의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하며 역대 최다 우승 감독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5. 감독으로서의 평가와 유산

우도 라테크는 독일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감독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다수의 매체에서 역대 최고의 감독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의 업적은 다음과 같은 수상 및 기록으로 증명된다.

'''개인 수상'''


  • 독일 축구 명예의 전당 : 2021
  • 독일 축구 문화 아카데미 상 : 2010
  • 슈포르트빌트 평생 공로상 : 2011
  • ESPN 역대 최고의 감독 19위
  • 프랑스풋볼 역대 최고의 감독 30위
  • 월드사커 역대 최고의 감독 36위


'''클럽별 주요 성과'''

'''FC 바이에른 뮌헨'''

대회결과연도
UEFA 챔피언스컵우승1974
UEFA 챔피언스컵준우승1987
분데스리가우승1972, 1973, 1974, 1985, 1986, 1987
분데스리가준우승1970, 1971
DFB-포칼우승1971, 1984, 1986
DFB-포칼준우승1985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대회결과연도
UEFA 컵우승1979
UEFA 챔피언스컵준우승1977
분데스리가우승1976, 1977
분데스리가준우승1978



'''FC 바르셀로나'''

대회결과연도
UEFA 컵 위너스 컵우승1982
프리메라 디비시온준우승1982


6. 사망

라테크는 말년에 쾰른의 한 요양원에서 거주했다. 그는 맥주를 즐기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었다 ("모든 훌륭한 코치는 술을 즐겼다").[5] 2012년 뇌졸중을 겪었으며,[5] 이후 파킨슨병치매를 앓았다.[2] 2015년 1월 31일, 향년 8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6][7][26] 그의 사망 소식에 프란츠 베켄바워는 트윗을 통해 "슬픈 소식: 위대한 우도 라테크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편히 잠드소서, 나의 친구여."라고 애도했다.[8]

참조

[1] 뉴스 Trainerlegende Udo Lattek ist tot https://www.welt.de/[...] Die Welt 2015-02-04
[2] 뉴스 Udo Lattek: Former Bayern Munich and Barcelona coach dies at 80 https://www.bbc.com/[...] BBC Sport 2015-02-04
[3] 뉴스 Legendary Bayern Munich coach Udo Lattek dies http://www.dw.de/leg[...] Deutsche Welle 2015-02-04
[4] 뉴스 Deutscher Erfolgstrainer: Udo Lattek ist tot http://www.spiegel.d[...] Der Spiegel 2015-02-04
[5] 뉴스 Udo Lattek ist tot http://www.kicker.de[...] kicker 2015-02-04
[6] 웹사이트 Deutschlands Fußball-Größen erweisen Udo Lattek die letzte Ehre http://www.ksta.de/f[...] 2015-02-10
[7] 웹사이트 Udo Lattek: Football coach who won the European Cup, Uefa Cup and Cup-Winners' Cup with three different clubs https://www.independ[...] 2015-05-01
[8] 웹사이트 Franz Beckenbauer tweeted about Lattek's death https://twitter.com/[...] kicker 2015-02-04
[9] 웹사이트 Bayern München http://www.kicker.de[...] kicker 2014-01-16
[10] 웹사이트 Bor. Mönchengladbach http://www.kicker.de[...] kicker 2014-01-16
[11] 웹사이트 Borussia Dortmund http://www.kicker.de[...] kicker 2014-01-16
[12] 웹사이트 FC Barcelona » Trainerhistorie http://www.worldfoot[...] World Football 2014-01-16
[13] 웹사이트 FC Barcelona » Dates & results 1981/1982 http://www.worldfoot[...] World Football 2014-01-16
[14] 웹사이트 FC Barcelona » Dates & results 1982/1983 http://www.worldfoot[...] World Football 2014-01-16
[15] 웹사이트 Udo Lattek http://www.kicker.de[...] kicker 2014-01-16
[16] 웹사이트 FC Schalke 04 http://www.kicker.de[...] kicker 2014-01-16
[17] 웹사이트 Greatest Managers, No. 19: Udo Lattek https://www.espn.com[...]
[18] 웹사이트 Top 50 des coaches de l'histoire https://www.francefo[...] France Football 2019-03-19
[19] 웹사이트 Los 50 mejores entrenadores de la historia https://www.foxsport[...] 2019-03-19
[20] 웹사이트 Los 50 mejores entrenadores de la historia del fútbol https://www.abc.es/d[...] ABC 2019-03-19
[21] 웹사이트 The Greatest Manager of all time http://www.worldsocc[...] World Soccer 2013-07-04
[22] 웹사이트 The Greatest XI: how the panel voted http://www.worldsocc[...] World Soccer 2013-07-02
[23] 문서 サッカードイツ代表監督を長く務め、1954年の1954 FIFAワールドカップにおいて初優勝に導いた人物。また指導者育成に尽力し多くの人材を輩出した事から「ドイツサッカーの父」とも評される。
[24] 문서 この記録保持者はユヴェントスFC、FCバイエルン・ミュンヘン等を指揮したイタリアのジョバンニ・トラパットーニとラテックのみ。
[25] 문서 後に監督として成功をおさめ、次期ドイツ代表監督の最有力候補と目されていたが2000年に薬物問題により失脚した。
[26] 뉴스 独の名将ラテック氏死去 https://www.nikkansp[...] 2015-02-05
[27] 웹인용 Udo Lattek wird 75: «Mich schreckt nichts mehr» http://www.transferm[...] 2012-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